부드러운 야생 Soft Wild
이유진 Yi Youjin
2025.09.03.-10.18.
기획/글 : 김아름 큐레이터
경계는 분명히 존재한다. 그러나 그 경계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견고하지 않다. 물과 기름이 만나는 순간, 꿈과 현실이 겹치는 새벽 시간, 고향과 타향 사이에서 흔들리는 마음처럼, 모든 경계는 살아 움직이며 끊임없이 스스로를 재정의한다.
갤러리 지우헌은 9월 3일부터 10월 18일까지 독일 뮌헨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이유진 작가의 개인전 《부드러운 야생(Soft Wild)》을 개최한다. 20여 년 동서양의 경계를 살아온 작가가 발견한 것은 경계가 만드는 단절이 아닌, 경계에서만 피어나는 새로운 가능성이었다.
이유진의 캔버스는 지도가 아니다. 여기서 선들은 영토를 나누지 않고 오히려 연결한다. 한지 위에 스며드는 서양 물감처럼, 그의 그림에서 동양과 서양은 서로를 밀어내지 않고 스며들며 제3의 언어를 만들어낸다. 이것은 문화적 혼종이 아니라, 경계 자체를 삶의 터전으로 받아들인 작가만이 도달할 수 있는 고유한 조형 세계다.
'부드러움'과 '야생' – 언뜻 모순되어 보이는 두 단어가 이번 전시의 중심에 있다. 부드러움은 꿈결 같은 화면의 질감이자, 관객을 작품 안으로 안전하게 인도하는 통로다. 야생은 그 부드러운 표면 아래 꿈틀거리는 원시적 생명력, 길들지 않은 직관의 힘이다. 이 두 힘이 만나는 지점에서 이유진의 그림은 비로소 숨을 쉬기 시작한다.
작가는 캔버스를 바닥에 눕혀놓고 몸 전체로 그린다. 미리 계획된 스케치는 없다. 오직 그 순간의 몸의 기억과 감정만이 붓끝을 통해 화면에 스며든다. 이렇게 탄생한 형상들은 무엇인가를 재현하려 하지 않는다. 대신 잠재의식 깊은 곳에서 길어 올린 원형들, 우리 모두가 막연히 느끼지만 말로는 포착할 수 없는 감각들의 흔적이 된다.
〈The Spirit of the Pond(연못의 정령)〉, 〈Roots of Light(빛의 뿌리) 〉, 〈Ocean Tree(바다 나무) 〉 – 작품 제목들만으로도 작가가 머무는 세계의 성격을 짐작할 수 있다. 연못은 하늘이 될 수 있고, 빛은 뿌리를 내릴 수 있으며, 바다에서 나무가 자란다. 논리적 사고로는 이해할 수 없지만, 꿈의 문법으로는 지극히 자연스러운 풍경들이다. – 작품 제목들만으로도 작가가 머무는 세계의 성격을 짐작할 수 있다. 연못은 하늘이 될 수 있고, 빛은 뿌리를 내릴 수 있으며, 바다에서 나무가 자란다. 논리적 사고로는 이해할 수 없지만, 꿈의 문법으로는 지극히 자연스러운 풍경들이다.
흙과 나무, 종이로 지어진 갤러리 지우헌의 공간은 이유진의 작품을 품기에 좋은 배경이 된다. 안과 밖의 경계를 허물고 자연을 끌어안는 한옥의 철학은 형상과 배경이 서로에게 스며드는 작가의 그림 세계와 묘한 공명을 만들어낸다. 관람객은 이 공간에서 단순히 그림을 보는 것이 아니라, 작가가 만든 꿈의 풍경 속으로 직접 걸어 들어가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본 전시는 해독하려는 조급함을 내려놓을 것을 제안한다. '이것이 무엇인가'보다는 '이것이 내게 어떤 느낌을 주는가'에 귀 기울여보자. 작품에 가까이 다가가 형상과 배경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순간들을 따라 시선을 옮겨보자. 그곳에서 각자만의 부드러운 야생과 마주하는 순간, 우리는 경계가 만드는 풍경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Boundaries clearly exist. However, these boundaries are not as solid as we think. Like the moment when water meets oil, the dawn hours when dreams and reality overlap, or the wavering heart between homeland and foreign land, all boundaries move and live, constantly redefining themselves.
Gallery Jiwooheon presents the solo exhibition Soft Wild by Yi Youjin, who is based in Munich, Germany, from September 3 to October 18. What the artist discovered after living on the boundary between East and West for over twenty years was not the disconnection created by borders, but new possibilities that bloom only at the boundaries.
Yi Youjin's canvas is not a map. Here, lines do not divide territories but rather connect them. Like Western paint seeping into hanji paper(Korean), in her paintings, East and West do not repel each other but permeate, creating a third language. This is not cultural hybridity, but a unique formative world that only an artist who has accepted the boundary itself as a living ground can reach.
Softness and wildness – two seemingly contradictory words stand at the center of this exhibition. Softness is the dreamlike texture of the screen and a passage that safely guides viewers into the work. Wildness is the primitive vitality writhing beneath that soft surface, the power of untamed intuition. At the point where these two forces meet, Yi Youjin's paintings finally begin to breathe.
The artist lays the canvas on the floor and paints with her entire body. There are no pre-planned sketches. Only the body's memory and emotions of that moment seep into the screen through the brush tip. The forms born this way do not attempt to represent something. Instead, they become traces of archetypes drawn from deep within the subconscious, sensations that we all vaguely feel but cannot capture in words.
The Spirit of the Pond, Roots of Light, Ocean Tree – from the artwork titles alone, we can glimpse the nature of the world where the artist dwells. A pond can become sky, light can take root, and trees grow from the sea. While incomprehensible through logical thinking, these are utterly natural landscapes in the grammar of dreams.
The space of Gallery Jiwooheon, built with earth, wood, and paper, provides a good backdrop for embracing Yi Youjin's works. The philosophy of hanok, which breaks down the boundaries between inside and outside and embraces nature, creates a strange resonance with the artist's painting world where forms and backgrounds permeate each other. Visitors will not simply view paintings in this space, but will experience walking directly into the dreamscape created by the artist.
This exhibition suggests laying down the impatience to decode. Rather than asking what this is, let us listen to what feeling this gives me. Approach the works closely and follow your gaze through moments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form and background become ambiguous. When we encounter our own soft wildness there, we will discover the true beauty of the landscape created by boundaries.
-
이유진(b.1980)은 세종대학교에서 한국화과를 중퇴하고 뮌헨미술원(Academy of Fine Arts Munich)에서 독일 모더니즘의 거장 군터 포그(Günther Förg) 교수의 지도 아래 회화 전공 석사과정을 마쳤다. 이후 베를린의 대표 미술 행사인 'Gallery Weekend Berlin'(2021)과 스위스 취리히의 실험미술 중심 공간 'Lemoyne Project'(2022) 등 유럽 주요 도시에서 15회의 개인전을 열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국제적 인지도가 높은 독일 국가예술기금(2021)을 비롯해 각종 공공기관의 지원금을 총 7회 받았으며, 이는 작가의 역량이 일찍이 해외에서부터 인정받았음을 증명한다. 또한 독일 바이에른주(2016)와 뮌헨시(2014, 2012)의 스튜디오 지원 프로그램에 선정되기도 했다. 2023년에는 제1회 키아프(KIAF) 하이라이트 작가로 선정되며 아시아 미술계에서의 입지를 더욱 견고히 했다. 현재 독일 뮌헨에 거주하며 한국과 독일을 오가며 활발한 작업 활동을 펼치고 있다.
Yi Youjin (b.1980) left the Korean Painting Department at Sejong University and completed her master's degree in painting at the Academy of Fine Arts Munich under the guidance of German modernism master Professor Günther Förg. Since then, she has been actively working with 15 solo exhibitions in major European cities, including Berlin's representative art event Gallery Weekend Berlin (2021) and Zurich's experimental art space Lemoyne Project (2022). She has received funding from various public institutions a total of 7 times, including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German National Arts Fund (2021), proving that her capabilities were recognized early on abroad. She was also selected for studio support programs by the German state of Bavaria (2016) and the city of Munich (2014, 2012). In 2023, she was selected as the first KIAF Highlight artist, further solidifying her position in the Asian art world. She currently resides in Munich, Germany, and continues her active artistic practice traveling between Korea and Germany.
관람 안내
기 간 2025.09.03.(수)~10.18.(토)
(일요일/월요일/공휴일 휴관)
운영시간 10:00~18:00 (종료 30분 전 입장 마감)
오 프 닝 09.03.(수), 오후 4시~
**오프닝 참여 이벤트로 다자연의 미스트와 마스크팩 정품 증정과, (주)지평주조의 프리미엄 복원주 '지평탁주'가 제공됩니다.
장 소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11라길 13 (주차불가)
후 원 럭셔리
협 찬 다자연, (주)지평주조
프로필 사진 제공 : 갤러리 지우헌, 이유진
비주얼 디자인 : 노서영 디자이너
전시전경 촬영 : 디자인하우스 김한이 포토그래퍼
Date : Sep. 3 - Oct. 18, 2025
Openig Reception : Sep. 4, 4PM~
Sponsorships : Magazine LUXURY
Opening Sponsor : DAJAYEON, JIPYEONG BREWERY
Closed on Sundays, Mondays, Holidays
13, Bukchon-ro 11ra-gil, Jongno-gu, Seoul
Curator/Writing Kim Areum
Profile Photos courtesy of Gallery Jiwooheon, Yi Youjin
Visual Design Noh Seoyeong
Isntallation photos courtesy of Designhouse. inc. / Photographer : Kim Hani
The Spirit of the Pond, 2025. Acrylic, oil, oil pastel on canvas, 40 x 35 ㎝.
Red Fox on Grasy Hill, 2023. Oil, oil pastel, conté on Korean paper, mounted on canvas, 50 x 60 ㎝.
Traumfrüchte, 2025. Acrylic, oil on Koreanpaper, mounted on canvas, 50 x 40 ㎝.
Female Figure, 2023. Acrylic, oil, oil pastel on Korean paper, mounted on canvas, 24 x 18 ㎝.
Blue Mountains, 2025. Oil, oil pastel, conté on Korean paper, mounted on canvas, 24 x 30 ㎝.
Splitting Clouds, 2025. Oil, oil pastel on Korean paper, mounted on canvas, 24 x 30 ㎝.
Korallenäste, 2024. Acrylic, conté, oil on Korean paper, mounted on canvas, 60 x 40 ㎝.
Mohnblumen, 2025. Acrylic, oil, oil pastel on Korean paper, mounted on canvas, 60 x 40 ㎝.
갤러리 지우헌은 ㈜디자인하우스에서 운영하는 전시공간으로 북촌 한옥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한옥을 개조한 독특한 구조로 전통적인 미감과 현대적인 편의성을 두루 갖추고 있으며, 2016년 서울시 우수한옥으로 선정되었을 만큼 뛰어난 건축미를 갖고 있다. 과거의 역사를 담고 있는 공간에서 현대미술을 조명하는 시공간적 특징을 가진 갤러리로서 동시대 미술의 흐름에 동참하며 국내·외 신진작가 발굴과 후원에 힘쓰고 있다.
Gallery Jiwooheon is an exhibition venue operated by Designhouse, Inc., located in Bukchon Hanok Village. It was selected as the 2016 Seoul Excellent Hanok for its distinctive structure remodeled from a hanok, which offers both traditional aesthetics and contemporary convenience and has remarkable architectural beauty. It aspires to identify outstanding new artists at home and abroad while supporting the trend of contemporary art as a gallery with temporal and spatial qualities that shines a light on contemporary art in a space possessing the history of the past.
-
문의 INQUIRE
큐레이터 김아름 Areum Kim, Curator
82-2-765-7964
areum.kim@design.co.kr
Instagram @jiwooheon_d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