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One and Only Blue
김선형 Kim SunHyoung
2025.07.02.-08.02.
*기획/글 : 김아름 큐레이터
갤러리 지우헌은 7월 2일부터 8월 2일까지 김선형의 개인전 《My One and Only Blue》을 개최한다. 본 전시는 ‘가든 블루(Garden Blue)’ 연작으로 잘 알려진 작가의 하나뿐인 푸른색 이야기가 담겨있다.
20여 년 가까운 시간 동안 작가가 오직 하나의 색에 천착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김선형에게 푸른색은 단순한 색채가 아니다. 그것은 시간이고, 기억이며, 끝없는 탐구의 대상이다.
2006년 구례 화엄사 늦겨울 저녁, 지축을 울리는 법고가 울려 퍼지는 그 순간 서쪽 하늘을 덮은 검푸른색. 그 사이로 날아간 새 한 마리. 작가에게 푸른색은 바로 그 순간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그것이 단순한 향수나 회상에 머물렀다면 20여 년이라는 세월은 설명되지 않는다. 김선형의 푸른색은 과거에 머무르지 않고 현재를 관통하며 미래로 흘러간다.
작가가 선택한 울트라마린(Ultramarine)은 맑고 진한 청색으로, 먹과 비슷한 성질을 지니며 오랜 시간 그 깊이를 유지한다. 이는 우연이 아니다. 동양화를 전공한 작가에게 푸른색은 먹의 정신적 깊이와 서구 안료의 물질적 특성이 만나는 지점이다. 그는 이 색을 통해 동서양의 경계를 넘나들며,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자신만의 화법을 만들어왔다.
그의 캔버스에는 꽃이 아닌 꽃이 되어가는 과정이 담겨 있다. 완성된 형태보다는 생성과 소멸이 순환하는 에너지, 보이는 것 너머에 존재하는 본질을 향한 끝없는 여정이 펼쳐진다. 기호와 문양, 식물의 편린들, 비밀스러운 숫자와 한글들이 푸른 화면 위에서 춤춘다. 이는 작가의 무의식 속 시간들이 푸른색이라는 매개를 통해 현재로 소환되는 순간들이다.
천과 한지를 덧댄 캔버스, 물감이 흐르고 번지며 스미는 자연스러운 과정들. 김선형은 재료 자체가 지닌 물성과 시간성을 적극적으로 화면에 개입시킨다. 종이가 마르며 비로소 제 색을 드러내는 과정, 캔버스의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물감의 흐름. 이 모든 것이 작가에게는 푸른색이 살아 숨 쉬는 방식이다.
왜 푸른색인가. 그것은 아마도 완결되지 않는 색이기 때문일 것이다. 하늘의 파랑도, 바다의 푸름도 매 순간 달라진다. 아침과 저녁의 푸름이 다르고, 계절마다 품고 있는 깊이가 다르다. 김선형에게 푸른색은 끝없이 변주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의 영역이다.
가든 블루 연작이 2025년 현재까지 이어지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에게 푸른 정원은 완성되지 않는 공간이다. 매일 새로운 씨앗이 뿌려지고, 매 순간 다른 빛이 드리우는 살아있는 터전이다. 작가는 이 정원의 정원사이자 동시에 그 안에서 자라나는 식물이기도 하다.
본 전시 《My One and Only Blue》는 과거 대표작에서 신작에 이르는 작품들을 통해 김선형의 예술적 궤적을 조망한다. 하나의 색이라는 이름 아래 펼쳐지는 무수한 변주를 통해, 같으면서도 매번 다른 순간들을 거쳐 우리는 김선형이 몰두해온 푸른 우주를 온전히 만난다. 그것은 개인적 체험에서 출발했지만 보편적 아름다움으로 확장된다. 한국적 정서의 깊이와 현대적 감각의 섬세함이 만나는 지점에서, 김선형의 푸른색은 여전히 새로운 이야기를 써내려가고 있다.
Gallery Jiiwooheon presents Kim SunHyoung's solo exhibition My One and Only Blue from July 2nd to August 2nd. This exhibition presents the story of the artist's one and only blue, exploring the work of an artist renowned for the Garden Blue series. What does it mean for an artist to dedicate nearly twenty years to a single color? For Kim Sun-hyoung, blue is not merely a color.
In the late winter evening of 2006 at Hwaeomsa Temple in Gurye, at the moment when the dharma drum resonated through the earth's axis, there was a dark blue covering the western sky. A single bird flew through it. For the artist, blue began in that very moment. However, if it had remained simply nostalgia or reminiscence, the twenty years that followed would be inexplicable. Kim SunHyoung's blue does not linger in the past but penetrates the present and flows toward the future.
The ultramarine chosen by the artist is a clear, deep blue that possesses qualities similar to ink and maintains its depth over long periods. This is no coincidence. Given his training in traditional Korean painting, the artist views blue as the meeting point between the spiritual depth of ink and the material properties of Western pigments. Through this color, he traverses the boundaries between East and West, creating his own artistic language where tradition and modernity coexist.
Kim SunHyoung’s canvases contain not flowers, but the process of becoming flowers. Rather than completed forms, they unfold an endless journey toward the essence that exists beyond the visible—energy where creation and dissolution circulate. Signs and patterns, fragments of plants, mysterious numbers and Korean letters dance across the blue surfaces. These are moments when time from the artist's unconscious is summoned into the present through the medium of blue.
Canvas layered with fabric and Korean paper, natural processes where paint flows, spreads, and seeps. He actively involves the materiality and temporality inherent in the materials themselves into his compositions. The process by which paper reveals its true color only as it dries, the flow of paint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canvas's angle—all of this represents how blue breathes and lives for the artist.
Why blue? Perhaps because it is a color that never reaches completion. The blue of the sky and the blue of the sea change every moment. The blue of morning differs from that of evening, and each season holds its own distinct depth. For Kim SunHyoung, blue is a realm of infinite possibilities for endless variation.
This is precisely why the Garden Blue series continues to evolve through 2025. For him, the blue garden is an unfinished space. It is a living ground where new seeds are sown daily and different light falls each moment. The artist is both the gardener of this garden and simultaneously a plant growing within it.
김선형 작가(b.1963)는 국내를 비롯해 도쿄, 교토, 타이중 등 국경을 넘나드는 무대에서 작품세계를 선보여오며 100회가 넘는 개인전을 가졌다. 그의 예술적 궤적은 국립현대미술관이 주최한 주요 기획전인 <’89청년작가전>(1989), <젊은모색 ’90:한국화의 새로운 방향>(1990), <서울관 개관기념 정원전>(2014-2015)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조명 받았다. 특히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된 <조선청화, 푸른 빛에 물들다>(2015) 전시에서는 김환기, 이우환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회화작가 3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어 그의 작품적 위상을 확고히 했다.
현대 동양회화의 새로운 지평을 넓혀온 작가는 에꼴드서울(1991)과 서울미술대전(2005)을 거쳐 호암갤러리에서 1988년부터 1990년까지 3회에 걸쳐 개최된 <현대한국회화전>에서 최연소 작가로 연속 초대받는 성과를 거두었다. 동양적 회화관에 기반한 실험적 표현을 통해 300여 회의 단체전에서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펼쳐온 그는, 2006년부터 시작된 '가든 블루’ 연작을 통해 푸른색 중심의 고유한 조형언어를 구축해오고 있다. 현재 국립 경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Kim SunHyoung (b.1963) has presented his artistic world both domestically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in Tokyo, Kyoto, and Taichung, holding over 100 solo exhibitions. His artistic trajectory has been continuously highlighted through major curated exhibitions hosted by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cluding the '89 Young Artists Exhibition, Young Quest '90: New Directions in Korean Painting, and the Garden Exhibition commemorating the opening of the Seoul branch. Particularly in the exhibition Joseon Blue and White Porcelain: Immersed in Blue Light (2015) hel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e was selected as one of three painters alongside Kim Whanki and Lee Ufan, solidifying his artistic stature.
He has broadened new horizons in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and was consecutively invited as the youngest artist to the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Exhibition held three times from 1988 to 1990 at Hoam Gallery, following École de Seoul and the Seoul Art Competition. Through experimental expressions based on traditional Korean painting concepts, he has developed his unique artistic world in over 300 group exhibitions. Since 2006, through his Garden Blue series, he has been constructing a distinctive visual language centered on blue. He currently serves a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Art Education at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관람 안내
기 간 2025.07.02.(수)~08.02.(토)
(일요일/월요일/공휴일 휴관)
운영시간 10:00~18:00 (종료 30분 전 입장 마감) / 전시 종료일(8.2)은 오후 4시까지
오 프 닝 07.02.(수), 오후 4시
**오프닝 참여 이벤트로 자연주의 스킨케어 브랜드 '다자연' 제품을 선착순으로 증정 드립니다.
장 소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11라길 13 (주차불가)
후 원 행복이가득한집
협 찬 다자연
+
프로필 촬영 : 디자인하우스 이우경 포토그래퍼
비주얼 디자인 : 박영남 디자이너
전시전경 촬영 : 디자인하우스 김한이 포토그래퍼
Date : July. 2 - Aug. 2, 2025
Openig Reception : July. 2, 4PM
Sponsorships : Magazine Home Living Korea
Opening Sponsor : All Naturall (DAJAYOEN)
Closed on Sundays, Mondays, Holidays
13, Bukchon-ro 11ra-gil, Jongno-gu, Seoul
+
Curator/Writing Kim Areum
Profile Photos courtesy of Designhouse. inc. / Photographer : Lee Wookyoung
Visual Design Park Young Nam
Isntallation photos courtesy of Designhouse. inc. / Photographer : Kim Kim Hani
Garden Blue, 2024. Water-based mix on canvas, 60.5 x 60.5 ㎝. (좌/우)
Garden Blue , 2024. Water-based mix on canvas, 100 x 100 ㎝.
Garden Blue, 2025. Water-based mix on canvas, 30 x 30 ㎝. (각 1점 당)
Garden Blue, 2025. Water-based mix on canvas, 88.5 x 30 ㎝. (좌/우)
Garden Blue, 2025. Water-based mix on Korean paper hanji, 100 x 100 ㎝.
Garden Blue, 2025. Water-based mix on canvas, 100 x 100 ㎝.
Garden Blue, 2025. Water-based mix on Korean paper hanji, 100 x 100 ㎝.
Garden Blue, 2025. Water-based mix on Korean paper hanji, 48.5 x 22.5 ㎝.
Garden Blue, 2025. Water-based mix on Korean paper hanji, 52 x 43.5 ㎝.
갤러리 지우헌은 ㈜디자인하우스에서 운영하는 전시공간으로 북촌 한옥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한옥을 개조한 독특한 구조로 전통적인 미감과 현대적인 편의성을 두루 갖추고 있으며, 2016년 서울시 우수한옥으로 선정되었을 만큼 뛰어난 건축미를 갖고 있다. 과거의 역사를 담고 있는 공간에서 현대미술을 조명하는 시공간적 특징을 가진 갤러리로서 동시대 미술의 흐름에 동참하며 국내·외 신진작가 발굴과 후원에 힘쓰고 있다.
Gallery Jiwooheon is an exhibition venue operated by Designhouse, Inc., located in Bukchon Hanok Village. It was selected as the 2016 Seoul Excellent Hanok for its distinctive structure remodeled from a hanok, which offers both traditional aesthetics and contemporary convenience and has remarkable architectural beauty. It aspires to identify outstanding new artists at home and abroad while supporting the trend of contemporary art as a gallery with temporal and spatial qualities that shines a light on contemporary art in a space possessing the history of the past.
-
문의 INQUIRE
큐레이터 김아름 Areum Kim, Curator
82-2-765-7964
areum.kim@design.co.kr
Instagram @jiwooheon_dh